
화석연료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에너지 기준을 창조합니다!
- 건강한 에너지 “KD목분(Wood Powder)”의 차별화
- 1) 기존 화석연료(중유, LNG, 페트로코크스 등) 대비 획기적인 연료비 절감
- 2) 탄소배출 Zero, 공해 발생이 적은 청정연료
- 3) 안정적이고 균일한 연소품질
-
- 낮은 함수율(2% 미만)로 발열량이 높고 입자 표면적 증가로 연소효율이 극대화됩니다.
- 낮은 흡습성으로 보관이 용이합니다.
-
- 황(S)의 발생이 없으며, 회분 발생량이 적습니다.
- 국내에서 발생하는 산림부산물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.
-
-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의 전면 시행으로 목분 연료를 사용하면, 배출권을 확보하여 탄소경영체제 구축이 가능합니다.
KD목분 제조 공정
자체 개발한 고온건조 기술(콘덴싱 기술, 폐열회수 및 건류가스 재연소 기술)을 적용하여 생산합니다.
국내 최초 상업화 실현!
고온건조 기술 _ 열처리 구분
경동의 바이오매스 열처리 기술은 200℃이하(Distillation) 또는 200~300℃(Torrefaction) 의 온도에서 이뤄지는 공정을 일컫습니다.
열처리 기술 구분
- 1) Distillation (Post dry or Over dry)
- 바이오매스 구성하는 주요 성분인 수분과 헤미셀룰로스, 리그닌, 셀룰로스 등의 polymers 중 선택적으로 단일 성분이 제거되도록 열원을 가하여 처리하는 공정
- 2) Torrefaction (Semi-Carbonization)
- 바이오매스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헤미셀룰로오스가 분해되고,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은 거의 분해되지 않고 잔재하는 열처리 공정. 본 과정에서 결합수, 헤미셀룰로오스 등의 제거로 바이오매스의 탄소 함량은 증가, 수소와 산소의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냄
- 3) Carbonization
- 바이오매스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유기화합물을 열분해 시켜 탄소 함량을 농축, 증대시키는 화학적 변화
탄화온도 | Wood | 200℃이하 (Distillation) |
200~300℃ (Torrefaction) |
400~600℃ (Carbonization) |
---|---|---|---|---|
고정탄소 (%) | 13~14 | >20 | 20 ~ 50 | < 50 |
전체탄소 (%) | 51~52 | >55 | 55~70 | < 70 |
발열량 (kcal/kg) | 4300~4600 | 4800~5000 | 5000~6500 | < 6500 |
색상 | Deep Brown | Light Brown | Deep ~ Dark Brown | Black |
질량수율 (%) | - | ~80 | 60~80 | < 40 |
KD목분 적용 및 실로TEST (국내)
경동의 KD목분은 업체의 실로 Test를 통해, 안정된 연소품질과 탁월한 경제성을 확인하였습니다!
-> 기존 연료(벙커C유, LNG) 대비 평균 20%~30% 의 원가절감율
구분 | 석회소성로 | 산업용 스팀보일러 |
알루미늄 용해로 |
일반 소성로 |
건조로 | 제강 래들 예열대 |
산업용 스팀보일러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
업체명 | P사 (포항) | S광업소 (삼척) | D금속 (김해) | R사 (포항) | D사 (영월) | P 제강사 (중국) | K사 (양산) |
사용 연료 |
Pet-coke 벙커 C유 |
벙커 C유 | 정제유 | LNG | 벙커C유 | LNG | LNG |
생산 제품 |
고품위 생석회 | 공장內 온수 | AL Ingot | 제올라이트 규조토 |
입상 석회비료 |
스테인레스 스틸 |
스팀 Test |
생산설비 | BeckenBach Kiln | 스팀보일러 | 회전식 반사로 | Rotary Kiln | Rotary Dryer | 제강 래들 | 스팀보일러 |
연소기 용량 |
자체 P.Cokes 연소기 사용 |
100만~400만 ㎉/hr (목분 연소기) |
70만~250만 ㎉/hr (목분 연소기) |
250만~350만 ㎉/h (목분 연소기) |
230만 kcal/hr (목분 연소기) |
150만 kcal/hr (목분 연소기) |
250만~300만 ㎉/h (목분 연소기) |
원가 절감율 |
환경적 우위 품질개선 (황 함유 無) |
절감율 20~30% | 절감율 20~25% | 절감율20~30% | 절감율 30~35% | 원가절감 및 발열량 균일 연료수급 |
연소 연구용 |
- 건조로(소성로) : 고토질 비료 제조, 시멘트 제조, 농수산물 건조, 생석회 제조, 제지업계, 소각로
- 비철금속용해로 : 알루미늄 용해로, 구리/주석/납 등 비철금속
- 스팀 보일러 : 중유발전소/섬유/염색단지(집단열에너지), 석유화학공업, 제지, 제약, 주민편의시설 (건물난방/급탕)
- 온수 보일러/온풍기 : 시설하우스 화훼용
해외 목분 적용사례
2005년부터 온실가스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해온 유럽 지역에서는, 이미 2000년대 초반부터 지역난방 및 목재가공 공장을 중심으로 기존 화석연료 (오일/가스/석탄) 보일러를 목분 연료로 전환하여 상업운전에 적용해오고 있습니다.
스웨덴 협력사 (목분 전용버너 & Multi-fuel버너 전문 제작업체) 적용실적
구분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---|---|---|---|---|---|
국가 | 핀란드 | 스웨덴 | 독일 | 스웨덴 | 태국 |
적용 부문 | 지역 난방용 보일러 | 목재펠릿 공장 | MDF보드 공장 | 온수보일러 (지역난방) | 파티클보드 공장 |
상업운전 일자 | 2013. 11. 1 | 2003. 10. 1 | 2001. 11. 1 | 2003. 11. 1 | 2003. 3. 1 |
Capacity | 1 x 33 MW | 1 X 10 MW | 1 X 25 MW | 4 X 25 MW | 1 x 11 MW 1 x 5 MW |